구 원트노/AWS 디플로이
[Ruby on Rails + AWS + Mysql] 2. AWS EC2 인스턴스 생성 (아마존 프리티어 사용해 웹 서버 구축하기)이전 글
이전 글
[루비/루비 온 레일즈] - [Ruby on Rails + AWS + Mysql] 0. AWS란 (아마존 프리티어 사용해 웹 서버 구축하기)
[루비/루비 온 레일즈] - [Ruby on Rails + AWS + Mysql] 1. rails 프로젝트 준비하기 (아마존 프리티어 사용해 웹 서버 구축하기)
1. 인스턴스 생성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를 이용하여 실제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간단한 웹 서버를 구축해보겠습니다.
일단 제일 먼저 AWS 사이트를 접속하셔서 회원 가입하고 로그인 합니다.
회원 가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면 12개월간 프리티어 권한이 생기고 이제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됩니다.
먼저 서비스를 클릭해서 EC2서비스로 들어갑니다.
중간쯤에 launch
instance버튼을 클릭하면 AMI를 선택하는 창이 나오는데
Amajon Linux를 선택합니다.
Amazon Machine Image(AMI)에는 가상 서버 기동에 필요한 정보들이 담겨 있습니다.
OS와 일반적인 데이터(디렉터리와 파일), 블록 디바이스 매핑(block device mapping)등의 정보들입니다.
일단 간단하게 os를 선택한다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다음에는 인스턴스 타입을 선택해야 합니다. 저희는 프리티어를 사용하니깐 당연히 t2.micro를 선택합니다.
인스턴스의 타입이란 서버의 사양을 정의한 것입니다.
인스턴스 타입에 따라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대역이 바뀌는데 이 타입에 따라 이용 요금이 달라집니다.
이 EC2 이용 요금은 인스턴스 타입별 시간당 요금으로 계산되어지는데 저희는 프리티어를 사용하니
t2.micro를 하나 돌린다면 1년간 무료라 생각하면 됩니다.
review and launch를 클릭하고 나면 하나를 변경하셔야 합니다.
다음 화면에 Edit security groups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설정해야 할 건 두 부분 입니다.
add rule을 클릭해서 HTTP를 추가해줍니다.
그리고 source 부분이 custom으로 설정되어 있는 부분을 anywhere로 변경해 줍니다.
이렇게 인스턴스 생성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